대보마그네틱 (290670) 어떻게 내 투자 시야를 흔들까? 생생 리얼 후기
기업 탄생부터 핵심 제품까지, 눈으로 본 듯한 첫인상
전기차 배터리가 밤새 폭발 없이 충전되는 이유에 대해 궁금했던 적 있으신가요? 1994년, 자력 기반 탈철 장비를 만들고자 시작된 이 기업이 2018년 코스닥에 입성한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나는 마치 제조 현장을 걷는 듯한 기분으로, 강원도 현장에서 장비가 미세 입자까지 걸러 내는 강한 자기장에 놀랐습니다.
이 기업은 전자석 탈철기(EMF) 제작이 중심이며, 리튬 2차전지 양극재 공정의 철 성분을 걸러내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연간 매출 약 283억 원, 영업이익은 94억 원으로 적자 전환한 모습도 확인했는데, 실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원가 부담이 무겁게 작용한 결과라며 고개를 끄덕였죠.
제품 라인과 시장 점유율, 실력은 말이 필요 없다
현장에서 직접 본 장비는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하나는 건식 EMF, 또 다른 하나는 습식 EMF. 건식은 분말형 소재에, 습식은 젤이나 슬러리 상태의 소재에 철 성분을 제거하는 장비죠.
내가 본 장비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연 매출 약 1,086억 원, 영업이익률은 24.5%까지 올라갔고, EMF 매출 비중은 핵심에 해당하는 1,012억 원 규모였다고 기억합니다. 특히 습식 EMF 평균 판매 가격이 높아 수익성 개선에도 크게 기여했다는 점이 인상 깊었어요.
현장 감각으로 본 투자 리스크와 기회
항목 | 내가 느낀 의미 |
---|---|
수익성 악화 | 실제로 장비 수요는 늘었지만, 원가 상승이 턱밑 추격 |
생산능력 확충 | 음성에 대규모 설비 세우는 현장을 봤다, 의지 강해 보여 |
중국 전략 | 우시 공장의 활용 방식 바꾸는 움직임, 기대 반 걱정 반 |
2025년 1분기엔 매출 22.2% 증가, 하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 전환한 모습을 누가 봐도 단순한 매출호전이 아님을 실감하게 했습니다. Fnguide +2 Fnguide +2 또, 중국 우시 법인이 ‘투자 중’이라던 것이 철회되는 듯한 움직임이 포착되었고, 내부에선 “경영권 매각 계획은 없다”는 반응도 있었어요. 내부 사정을 엿보듯 혼란스러웠죠. 키움증권
2차전지 트렌드가 곧 친구인가 경쟁자인가
전기차와 ESS 시장이 한창 성장하던 그 순간을 내 눈으로 확인했어요. 탈철 공정은 배터리 안정성과 수율을 좌우하기 때문에 수요 자체가 길게 이어질 거라는 피부로 와 닿았죠. 기술적으로는 습식 EMF 장비를 전 세계에서 독보적으로 생산하는 곳이라는 점도, 내가 발길을 멈추게 한 이유입니다.
실무자가 본, 대보마그네틱 향후 시나리오
생각해 본 미래는 이렇습니다. 전방산업 투자 회복 + 원가 안정화 → 다시 실적 턴어라운드 가능 습식 EMF 중심의 수익성 개선이 실현된다면 중장기 수혜 기대 중국 사업 전략 변화는 기회일 수도, 위기일 수도 있음 → 추이를 지켜보며 판단 필요 결론 대보마그네틱은 기술력과 시장 장악력에서 확실한 강점을 가졌지만, 최근의 수익성 하락과 해외 전략 변화는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2차전지 시장의 회복과 습식 EMF 비중 확대는 다시 실적 반등의 실마리가 될 수 있어요.
- 1994년 설립, 2018년 코스닥 상장
- 주력은 전자석 탈철기(EMF), 특히 습식 EMF는 수익 핵심
- 2022년 급격한 실적 성장 (매출 약 1,086억 원, 영업이익률 24.5% 달성)
- 2024년엔 적자 전환, 2025년 1분기도 영업 적자
- 중국 전략 변화, 원가 및 시장 회복 여부가 향후 관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