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꿀팁

위염과 위궤양 차이, 증상부터 치료까지 확실하게

by 하루5분 건강정보 2025. 9. 15.

위염과 위궤양, 비슷한 속쓰림 속에서도 증상·원인·치료법은 다릅니다. 이 글에서 두 질환의 차이를 명확히 비교해 알려드립니다.



“위염과 위궤양 차이, 증상부터 치료까지 확실하게”라는 주제로 설명해 드릴게요. 많은 분들이 소화불량, 명치 통증 등으로 두 질환을 헷갈려 하시는데요. 증상의 경중, 병리적 손상 깊이, 치료 필요성 등이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리면 판단이나 대처에 도움이 됩니다.


위염이란?

위염(gastritis)은 위의 점막층(mucosa)에 염증세포 침윤이 일어나거나, 자극 등에 의해 위 점막 표면이 손상된 상태를 말합니다. 급성 위염은 알코올, 약물(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진통제 등), 급격한 스트레스, 감염 등이 원인이며 만성 위염은 반복적인 자극이나 헬리코박터균 감염 등이 영향을 줍니다.

위궤양이란?

위궤양(gastric ulcer)은 위 점막층뿐 아니라 점막하층(submucosa) 이하의 보다 깊은 조직까지 손상이 생겨, 궤양형(flat or crater‑like lesion)이 생긴 상태입니다. 궤양이 생기면 출혈, 통증 등이 더 심해질 수 있고 치료가 위염보다 더 확실히 필요합니다. 

증상의 차이

두 질환은 증상이 겹치는 부분이 많지만, 특징적인 차이도 있습니다. 아래 비교해볼게요.

  • 위염: 소화불량, 더부룩함, 명치 통증, 트림, 속쓰림 등이 주로 가볍고 간헐적으로 나타남. 만성 위염의 경우 증상이 거의 없거나 미미한 경우 많음.
  • 위궤양: 명치 부위의 타는 듯한 통증, 특히 식후 또는 공복 시 통증이 심해질 수 있음. 체중감소, 구역, 구토, 출혈(토혈 또는 흑색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위염은 자극성 음식, 알코올, 스트레스 등 환경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함. 반면 궤양은 원인 요인이 더 심하거나 병소가 깊기 때문에 증상의 강도와 위험성이 더 큼.

원인 및 병리적 차이

  • 공통 원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흡연, 음주, 자극성 식사 등이 있음. 
  • 위염: 위 점막의 염증, 부종, 점막 손상 등이 주로 표층에서 일어남. 만성일 경우에는 점막 위축, 위샘 변화(위산 분비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위궤양: 점막하층 이하까지 손상되어 궤양이 패인 면모가 보이며, 출혈 가능성, 천공, 궤양 가장자리의 섬유화 조직 등의 위험성 있음.

치료 및 관리 차이

치료에서 위염과 위궤양은 접근 방식이 달라요. 아래처럼 관리가 필요합니다.

  • 위염 치료: 우선 식습관 개선(자극적인 음식 줄이기, 규칙적인 식사), 금주·금연, 스트레스 관리 등이 기본. 급성 위염의 경우 증상이 심하면 제산제(antacid), 위산분비 억제제(PPI) 등을 사용. 만성 위염인 경우 헬리코박터균 검사 후 제균치료 고려.
  • 위궤양 치료: 궤양 부위의 치유를 위해 위산분비 억제제(PPI, H2 차단제) 장기간 사용, 헬리코박터균 양성 시 제균치료, NSAIDs 사용 중지 또는 변경 고려. 출혈, 천공 등이 있을 경우 내시경 치료 또는 수술 필요할 수 있음. 또한 추적 내시경을 통해 치유 여부 확인.

합병증 및 경과

  • 위염: 보통 적절한 치료 및 생활습관 조정으로 회복 가능. 만성 위염이 오래 지속되면 점막 위축, 위산 분비 문제, 장상피화생 등으로 발전할 가능성 있음.
  • 위궤양: 치료하지 않으면 출혈, 천공(궤양이 뚫려 구멍이 생기는 상태), 위벽 절개 또는 위장 출구 폐쇄(협착), 빈혈 등이 생길 수 있음.

자가진단 불가능한 이유와 확인 방법

외견상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자가진단은 위험할 수 있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음 방법들이 필요합니다:

  • 위내시경 검사: 궤양 여부, 출혈 여부, 점막 손상 정도 직접 확인 가능.
  • 헬리코박터균 검사: 위염·위궤양 모두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치료 방향 결정에 중요.
  • 혈액검사 및 영상 검사: 출혈이 의심될 때, 빈혈 검사, 흑색 변·토혈 여부 시 검사 필요. 또한 부작용이나 합병증 여부 파악.

이상으로 위염과 위궤양의 주요 차이점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증상이 가볍더라도 반복되거나 오래 지속된다면 의료기관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겠네요.